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은 1906년 핀란드 총파업 이후 창당된 핀란드의 정당이었다. 기독교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자본으로부터의 해방을 주장했으나, 사회민주당의 무신론과는 이견을 보였다. 1907년 선거에서 두 석을 얻었으나 이후 의석수가 감소했고, 1917년 기독교 노동자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핀란드 내전 기간 중립을 지켰으나 활동이 중단되었고, 1919년 선거 이후 주요 지도자들이 사회민주당에 합류하며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사회주의 - 종교사회주의자 국제연맹
종교사회주의자 국제연맹은 1926년 결성되어 종교적 가치와 사회주의 이념을 결합해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종교사회주의 운동 단체이다. - 1918년 해산된 정당 - 핀란드인당
핀란드당은 1860년대 페노만 지식인들이 핀란드어의 지위 향상을 목표로 형성한 정당으로,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 당국과의 협력 시도와 러시아화 정책 대응에 대한 분열을 겪었으며, 핀란드 독립 후 군주제 지지 여부로 국민연합당과 핀란드 국민진보당으로 분열되었다. - 1918년 해산된 정당 - 독일 조국당
독일 조국당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7년에 창설된 독일의 극우 민족주의 정당으로, 전쟁 승리와 영토 확장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후 나치당의 기원이 되는 독일 노동자당 결성에 영향을 주었다. - 핀란드의 해산된 정당 - 핀란드인당
핀란드당은 1860년대 페노만 지식인들이 핀란드어의 지위 향상을 목표로 형성한 정당으로,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 당국과의 협력 시도와 러시아화 정책 대응에 대한 분열을 겪었으며, 핀란드 독립 후 군주제 지지 여부로 국민연합당과 핀란드 국민진보당으로 분열되었다. - 핀란드의 해산된 정당 - 라푸아 운동
라푸아 운동은 1929년 핀란드에서 반공주의, 루터교,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시작되어 좌파 및 노동계 활동을 방해했으나, 과격한 행보로 인해 불법화되었다.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Suomen Kristillisen Työväen Liitto (핀란드어) Finlands kristliga arbetarförbund (스웨덴어) |
약칭 | SKTL (핀란드어) FKAL (스웨덴어) |
한국어 명칭 |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 |
개요 | |
창립 | 1906년 |
해산 | 핀란드 사회민주당에 합병 |
이념 | 기독교 사회주의 |
정치 성향 | 좌파 |
국가 | 핀란드 |
2. 역사
1906년 총파업 이후 창당된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은 급진적인 기독교 사회주의 성향을 띠었으며, 사회민주당과 유사한 강령을 가졌지만 무신론에는 반대했다.[1]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우리 국민을 자본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자"라는 표어를 내걸었다.[2]
초기에는 사제 중심의 경향과 안티 카르네 중심의 사회 개혁 경향이 대립했으나, 곧 성직자 파벌은 소외되었다.[1] 1907년 에두스쿤타 선거에서 2석을 얻은 후, 1913년 선거까지 의석을 유지하다 이후 의회 진출에 실패했다. 1916년 선거에서 다시 1석을 얻었으나, 이듬해 선거에서 의석을 잃었다.
1917년 '''기독교 노동자당'''으로 당명을 변경했고, 마티 헬레니우스-세팃샐라가 이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핀란드 내전에서 중립을 지켰으나 백군은 이를 적군으로 간주했다.[4] 1919년 선거에서 2석을 얻었지만, 이후 선거에 불참하고 주요 지도자들이 사회민주당에 합류하면서 해산되었다.[4][5]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06년 ~ 1917년)
1905년 총파업 이후 1906년에 창당되었다. 이 정당은 급진적인 기독교 사회주의적 성향을 띠었다. 사회민주당의 강령과 대체로 유사했지만, 사회민주당의 무신론과는 화해할 수 없었다.[1] 이 당의 모토는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우리 국민을 자본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자"였다.[2]창당 초기에는 당원들 사이에 두 가지 뚜렷한 경향이 나타났다. 하나는 당이 무신론과의 투쟁에서 동맹을 얻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사제들이 주도하는 경향이었고, 다른 하나는 안티 카르네가 이끄는, 기독교 원칙에 따라 사회 개혁을 추진하려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곧, 성직자 기반의 파벌은 당의 방향성에 대한 경쟁에서 소외되었다.[1]
1907년 선거에서 이 당은 에두스쿤타에서 두 석을 얻었으며, 카르네와 마티 헬레니우스-세팃샐라가 국회에 진출했다.[1] 1908년 선거에서도 두 석을 유지했으나, 1909년 선거에서는 한 석으로 줄었다.[3] 1910년과 1911년 선거에서도 한 석을 유지했지만, 1913년 선거에서는 의회 진출에 실패했다.
1916년 선거에서 이 당은 한 석을 다시 얻었지만, 1년 뒤 선거에서 그 자리를 잃었다.
2. 2. 당명 변경과 핀란드 내전 (1917년 ~ 1919년)
1917년, 당은 '''기독교 노동자당'''(''Kristillinen työväenpuolue'')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마티 헬레니우스-세팃샐라는 말년에 이 당의 이념적 성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핀란드 내전으로 인해 당의 활동은 중단되었다. 당은 전쟁에서 중립 정책을 유지했지만, 백군은 이를 적군 편을 든 것으로 해석했다.[4]2. 3. 해산 (1919년 이후)
1919년 선거에서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은 두 석을 얻었지만, 그 이후의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5] 주요 지도자들이 사회민주당에 합류하면서 해산되었다.[4]3. 이념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은 급진적인 기독교 사회주의적 성향을 띠었다. 이 당의 강령은 사회민주당의 강령과 대체로 유사했지만, 사회민주당의 무신론과는 화해할 수 없었다.[1] 이 당의 모토는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우리 국민을 자본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자"였다.[2]
창당 초기에는 당원들 사이에서 두 가지 뚜렷한 경향이 나타났다. 하나는 무신론과의 투쟁에서 동맹을 얻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사제들이 주도하는 경향이었고, 다른 하나는 안티 카르네가 이끄는, 기독교 원칙에 따라 사회 개혁을 추진하려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곧, 성직자 기반의 파벌은 당의 방향성에 대한 경쟁에서 소외되었다.[1] 마티 헬레니우스-세팃샐라는 말년에 이 당의 이념적 성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4. 선거 결과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은 1907년부터 1919년까지 핀란드 의회 선거에 참여했으며, 1922년 선거에는 불출마했다. 아래 표는 해당 기간 동안의 선거 결과를 나타낸다.
선거 | 득표수 | % | +/– | 의석 | +/– | 순위 | 상태 |
---|---|---|---|---|---|---|---|
1907 | 13,790 | 1.55 | 신규 | 2 / 200 | 신규 | 6위 | 야당 |
1908 | 18,848 | 2.33 | 0.78 | 2 / 200 | 0 | 6위 | 야당 |
1909 | 23,259 | 2.75 | 0.42 | 1 / 200 | 1 | 6위 | 야당 |
1910 | 17,344 | 2.19 | 0.56 | 1 / 200 | 0 | 6위 | 야당 |
1911 | 17,245 | 2.15 | 0.04 | 1 / 200 | 0 | 6위 | 야당 |
1913 | 12,850 | 1.77 | 0.38 | 0 / 200 | 1 | 6위 | 국회 외 정당 |
1916 | 14,626 | 1.84 | 0.07 | 1 / 200 | 1 | 6위 | 야당 |
1917 | 15,489 | 1.56 | 0.28 | 0 / 200 | 1 | 5위 | 국회 외 정당 |
1919 | 14,718 | 1.53 | 0.03 | 2 / 200 | 2 | 6위 | 야당 |
1922 | 불출마. |
4. 1. 의회 선거
선거 | 득표수 | % | +/– | 의석 | +/– | 순위 | 상태 |
---|---|---|---|---|---|---|---|
1907 | 13,790 | 1.55 | 신규 | 2 / 200 | 신규 | 6위 | 야당 |
1908 | 18,848 | 2.33 | 0.78 | 2 / 200 | 0 | 6위 | 야당 |
1909 | 23,259 | 2.75 | 0.42 | 1 / 200 | 1 | 6위 | 야당 |
1910 | 17,344 | 2.19 | 0.56 | 1 / 200 | 0 | 6위 | 야당 |
1911 | 17,245 | 2.15 | 0.04 | 1 / 200 | 0 | 6위 | 야당 |
1913 | 12,850 | 1.77 | 0.38 | 0 / 200 | 1 | 6위 | 국회 외 정당 |
1916 | 14,626 | 1.84 | 0.07 | 1 / 200 | 1 | 6위 | 야당 |
1917 | 15,489 | 1.56 | 0.28 | 0 / 200 | 1 | 5위 | 국회 외 정당 |
1919 | 14,718 | 1.53 | 0.03 | 2 / 200 | 2 | 6위 | 야당 |
1922 | 불출마. |
참조
[1]
서적
Uppslagsverket Finland. 2, 2
https://books.google[...]
Schildt
1983
[2]
서적
Suomi : maa, kansa, valtakunta 1
https://books.google[...]
Otava
1923
[3]
서적
Finlands politiska system
https://books.google[...]
1966
[4]
서적
Det Svenska stiftets tillkomst: en undersökning med särskild hämsyn till de politiska besluten
https://books.google[...]
Åbo Akademis tryckeri
1998
[5]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6]
서적
Uppslagsverket Finland. 2, 2
https://books.google[...]
Schildt
1983
[7]
서적
Suomi : maa, kansa, valtakunta 1
https://books.google[...]
Otava
1923
[8]
서적
Finlands politiska system
https://books.google[...]
1966
[9]
서적
Det Svenska stiftets tillkomst: en undersökning med särskild hämsyn till de politiska besluten
https://books.google[...]
Åbo Akademis tryckeri
1998
[10]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